![balancebrain_who-help_0-1](https://home.csetest.com/wp-content/uploads/2017/02/balancebrain_who-help_0-1.png)
※ 신경발달에 미치는 환경 위험요소 연구'(TENDR) 연구결과(2016년)
![balancebrain_who-help_0-3](https://home.csetest.com/wp-content/uploads/2017/02/balancebrain_who-help_0-3.png)
스펙트럼의 원래 정의는 ‘햇빛이 프리즘을 통과할 때 여러 가지 색의 빛으로 나뉘는 것’입니다. 근본적으로는 하나의 원인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색깔로 표현됩니다. 이처럼 자폐 스펙트럼, 아스퍼거증후군, 전반적 발달장애를 포함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ADHD, 틱장애, 학습장애, 강박증 등은 각각 분리된 질병이 아니라 특징적인 패턴과 원인을 공유하며, 중증도와 기능장애를 가진 해부학적 영역에 따라 차이가 생긴다 해서 스펙트럼 장애로 통칭합니다.
사고인지, 행동·감정조절, 언어, 운동, 지속적인 집중력 등을 수행하기 위해 뇌는 먼저 감각정보를 받아들여 그 정보를 처리하는 각 영역으로 연결합니다. 해당 영역의 기능이 약하거나 그 연결에 문제가 있다면 외부 환경의 정보는 왜곡되고, 그로 인해 정상적인 행동을 하고 감정을 처리하는데 이상이 생깁니다. 특히 이러한 프로세스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좌뇌와 우뇌는 함께 작동해야 하므로 좌우뇌의 균형적인 기능이 근본적으로 가장 중요합니다.
기능이 저하된 부분이나 연결 이상은 아이마다 달라 ADHD, 틱장애, 학습장애, 자폐 스펙트럼, 발달장애 등의 질환으로 각기 다르게 나타나게 됩니다. 눈에 보이는 문제는 다르지만, 원인을 따라가면 그 중심에는 뇌와 좌우뇌 불균형이 있습니다.